
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셀러라면은 마진계산기는 필수입니다.
하지만 어렵고 복잡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텐데요.
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 걱정을 모두 사라지게 할게요.
쉽고 누가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마진계산기를 공유합니다.
마진계산기 뜻
마진계산기는 제품을 가져오는 원가와, 판매가 이뤄지는 판매가격을 기준으로 마진(수익)을 계산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. 보통 온라인 셀러가 물건을 얼마를 남기고 팔고 있는지 또는 이익률은 몇 퍼센트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마진(수익) 금액 = 판매가 - 원가를 뺀 금액입니다.
마진율(%) = (마진금액/판매가) x 100입니다.
예를 들어 판매금액이 20,000원이고 마진 금액이 10,000원이라면 마진율(%)은 (10,000/20,000) x 100 이기 때문에 50%입니다.
이렇게 마진금액과 마진율을 알아야지 광고비는 얼마를 지출해야 할지 기타 부자재비용은 얼마를 책정해야 할지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.
다음으로는 실제 셀러가 사용하고 있는 마진계산기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현재 셀러가 사용하고 있는 마진 계산기
상품 A를 판매할 경우 원가율, 부가세, 플랫폼수수료, 판관비, 인건비, 택배비, 광고비, 종합소득세(또는 법인세)를 계산하여 마진율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.

원가율(%):(원가/판매가) x100
부가세(%):일반과세자의 경우 (부가가치세액/매출액)*100, 간이과세자의 경우 0
플랫폼수수료(%):입점해 있는 플랫폼 판매수수료율
판관비(%):부자재비용, 사무실월세비용, 공과금, 통신비등 판매에 필요한 관리비를 말합니다.
인건비(%):(인건비/매출액)*100
택배비(%):(택배비/판매가)*100
광고비(%):(광고비용/매출액)*100
종합세(%):간이과세자의 경우 약 2% 가정, 일반과세자의 경우 (법인세액/매출액)*100
마진율(%):100-(원가율+부가세+플랫폼수수료+판관비+인건비+택배비+광고비+종합세)를 계산한 금액입니다.
저의 경우에는 상품 A를 판매할 경우 마진율은 20%가 됩니다. 보통 10~30%의 마진율을 책정하셔야 판매하는데 역마진을 피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간단한 공식만 알아도 마진율계산이 가능합니다. 계산방법은 링크에 첨부해 두니 무료로 다운로드하셔서 사용해 보세요. 내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필요이상으로 비용이 지출된다거나, 실제 마진율을 보고는 놀라는 일이 많습니다. 마진계산기 꼭 챙기셔서 성공적인 업무를 보셨으면 좋겠습니다.
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5nBj99N6akJ6QFlmcigpnEzypRnCTy2W/edit?rtpof=true
'온라인 판매(실전편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PL 품고 실제 사용 후기, 월 사용료는 얼마일까? (0) | 2025.04.16 |
---|---|
스마트스토어 현실, 진짜 돈을 벌 수 있을까?(현직셀러 수익 공개) (0) | 2025.04.13 |
농산물 인터넷 판매, 위탁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 (0) | 2025.04.09 |
스마트스토어 온라인 매출의 3요소 (0) | 2025.03.20 |
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쇼핑몰, 정말 돈 되는 사업일까? (0) | 2025.03.12 |